클래스 정의를 다루던 도중 새 메서드를 추가하고 싶을 때가 있을거란다.내 생각에는 내가 만든 클래스는 그냥 추가하면 될것 같은데... 예제라서 그렇게 한거 같고.남이 만들어서 추가할수 없는 녀석들에 대해서 적용하는 용도일듯.다른 분들은 엄청나게 강력하다고 이야기들을 하신다... 왜 나만 이렇게 부정적이지. 아무튼.일단 구현방식은 너무나도 쉽다. New File에서 Category를 선택하면 된다. 이 것을 구현하고 나서 할짓은,import문에 들어가 있던 부분의 header파일의 이름을 변경하여 주면된다.흠... 글쓰는 아직까지도 엄청나게 어마어마하게 상속보다 강력한것을 못 느끼고 있음...한가지 장점을 따지자면, 모태가 되는 클래스가 존재할 경우에, 이 부분들에 대해서 각각의 모듈을 작성할수 있을듯.소..
id형을 사용하게 되면, 자바에서의 instanceof와 같이 객체를 비교하는 부분이 당연히 필요할것이다.여러가지가 존재하는데, isKindOfClass, isMemberOfClass 만 많이 쓸듯.[]안의 내용들은 비교할 대상? 이다. 메서드액션 - (BOOL) isKindOfClass:[class-object]객체가 class-object의 멤버이거나 자식 클래스의 멤버인가? - (BOOL) isMemberOfClass:[class-object]객체가 class-object의 멤버인가? - (BOOL) respondsToSelector:[selector]객체가 selector로 지시한 메서드에 응답할 수 있는가? + (BOOL) instancesRespondToSelector:[selector]지정한..
이렇게 줄은 맞는데, 테이블이 안보이고 싶을때가 있는데. 우리의 사랑스런 이클립스가 경고를 하여준다. 이렇게 되면, 뵈기 싫어진다. 그래서 다른 방법은 모르겠고. 일단 CSS를 적용해서 없애봤다. 아래와 같이 추가해서 적용하면 된다. table { border: 0 none; } td { border: 0 none; } 이상한건, 크롬에서 아예 border를 안주면, 그냥 안보여준다. html5 규격인것인지... 하여간. 저렇게 하면 border를 1로 주어도, 절대로 선이 안보인다. 적용은 항상 알아서 할것.
1. HTML에서 link요소를 이용한 external 방식: HTML File의 에 추가하여, 외부파일을 사용하는 방식 2. CSS파일에서 @import를 이용한 import 방식: CSS규칙내에서 외부의 CSS파일을 불러오는 방식@import url([css file path]) [media type and condition]; 3. HTML에서 style요소를 이용한 internal 방식: HTML파일안에 CSS규칙을 넣어서 바로 사용하는 방식 4. HTML Tag에서 Style속성을 이용한 inline-style 방식: HTML Tag에서 css 규칙을 속성으로 포함시키는 방식 네가지중에 쓰면되는데...알아서 쓰면 될듯.
- Total
- Today
- Yesterday
- Codable
- enum
- Xcode
- Python
- git
- ubuntu
- go
- rxswift
- ios
- tomcat
- war
- php
- nodejs
- CentOS
- Kotlin
- Gradle
- Spring
- cocoapods
- docker
- SWIFT
- golang
- intellij
- MySQL
- windows10
- Linux
- Windows
- github
- centos8
- Java
- androi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