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lazy
스위프트에는 지연변수가 존재합니다. 물론 kotlin에도 있고요...왜 둘이 비슷한지에 대한 문제는 더 이상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ㅎ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것을 사용할 때에 lazy var를 이용합니다. 지연변수라고 함은 이 변수를 처음으로 접근할 경우에 초기화를 시키는 작용을 하는 변수를 이야기 합니다. 일반적으로 class를 생성할때에는 무조건 초기화가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12345678910class TestA { var text1: String var text2: String init(text2: String) { self.text2 = text2 self.text1 = "Add : \(text2)" }}cs 꼭 초기화를 하여야 합니다. let test = TestA() 이렇게 하였는데, ..
Mobile/iOS
2018. 5. 7. 23:3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git
- Spring
- windows10
- cocoapods
- ios
- Xcode
- Python
- Java
- php
- enum
- android
- golang
- nodejs
- Windows
- MySQL
- ubuntu
- docker
- CentOS
- SWIFT
- centos8
- war
- intellij
- github
- tomcat
- Linux
- Codable
- Gradle
- Kotlin
- go
- rxswif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