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오늘 일이 생겨서 디스크가 용량이 가득차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얼마나 용량이 차서 문제가 생긴지가 궁금하였고 용량 확인 부분을 찾아보았습니다. 서버를 원래부터 하시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에게는 아직 미지의... df : 디스크의 사용량 확인 방법 df -k : 킬로바이트 단위로 현재 남은 용량을 확인 df -m : 메가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을 확인 df -h : 보기 좋게 보여줌 df . :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du : 디스크의 남은 용량 확인 방법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파일단위 출력 du -s : 총 사용량을 확인 du -h : 보기 좋게 바꿔줌 du -sh * : 한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보여준다.
윈도우로 생각하면 바로가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는 이것을 이용하여 웹서버 경로에 접근하는걸 조금 더 간소화 합니다. 우리는 ln 명령을 이용할 것인데요. 두가지를 정의할 수 있는데요. inode? 리눅스(유닉스)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 구조인데요. 파일 혹은 디렉터리의 각종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 실제로 파일들은 저장되는 공간에 넣어두고 그것을 파라보는 파일의 이름이 우리가 보는 파일인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파일을 삭제한다 해도 복구가 되는겁니다. 원래 저장된 데이터는 사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1. 하드 링크 링크하여둔 파일이 사라져도 원래의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링크입니다. 링크하여둔 파일의 inode를 보기 때문이죠. ln origin target origin을 target에 하드 링크..
바로 이전 글에서 ls의 색상을 변경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프롬프트 변경과 색상 변경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앞에 제가 작성한 글과 연관이 있으니 보시는것도 좋습니다. http://mrgamza.tistory.com/546?category=599257 12$ echo $PS1\[\e]0;\u@\h: \W\a\]${debian_chroot:+($debian_chroot)}\[\033[01;32m\]\u@\h\[\033[00m\]:\[\033[01;37m\]\w\[\033[00m\]\$cs echo $PS1을 치면 알아들을수 없는것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링크에서 색상에 대한 부분들을 알면 되고요. 프롬프트에서 사용되는 옵션들입니다. \t 현재 시간을 HH:MM:SS 형식으로..
- Total
- Today
- Yesterday
- centos8
- Windows
- Spring
- intellij
- docker
- MySQL
- Java
- go
- tomcat
- Linux
- github
- rxswift
- Gradle
- enum
- ubuntu
- git
- cocoapods
- nodejs
- Kotlin
- windows10
- ios
- golang
- SWIFT
- android
- php
- Xcode
- Python
- Codable
- war
- CentO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