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cat을 설치하고 그냥 localhost를 하게 되면 tomcat의 기본 화면이 노출됩니다. 우리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하고 이것을 바로 Root로 설정하여서 사용하는것이 좋을거 같네요. 그래서 한번 이것을 조정하여 보도록 합시다. 기본적으로 server.xml 파일의 내부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형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server.xml 파일은 tomcat 설치 폴더의 conf 폴더에 있어요 .. 이곳에 tag를 넣어서 사용하게 되면 됩니다. .. docBase가 war로 배포해서 폴더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입니다. 저는 test를 하였기에 test라 적었습니다.
web.xml에 들어가는 Servlet Version이 다를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래서 이 값들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이곳을 참조하면 더 좋아요 http://www.oracle.com/webfolder/technetwork/jsc/xml/ns/javaee/index.html Java EE: XML Schemas for Java EE Deployment Descriptors By Bill Shannon, Java EE Spec Lead, Oracle, August 21, 2017 www.oracle.com Servlet 2.2 Servlet 2.3 Servlet 2.4 - DTD에서 Schema로 변경됨 Servlet 2.5 Servlet 3.0 Servlet 3.1 Servlet 4.0
tomcat에 war로 배포를 하려고 하였더니 에러가 발생하면서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습니다. 내용은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그냥 딱봐도 파일 용량 제한에 걸려서 생기는 문제 같네요. nginx는 기본적으로 파일 업로드 사이즈를 1M로 해놓는다고 합니다. 그럼 설정을 다시 해주면 되겠죠? 파일을 열어줍니다. $ sudo vi /etc/nginx/nginx.conf 다음을 추가하여 줍시다. http { include /etc/nginx/mime.types; default_type application/octet-stream; # Set client upload size - 10Mbyte client_max_body_size 10M; ... } 제가 배포하려는 war 파일의 용량..
거의 Apache + Tomcat을 이용하였는데 이제는 조금 시대가 변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도 nginx를 이용하여 tomcat을 사용하는 곳이 생기고 저희 회사도 마찬가지로 사용중입니다. ^^ 그런데 nginx의 proxy를 이용하면 뒤에 WAS를 가져다가 붙이면 됩니다. ㅎㅎ 오늘은 크리스마스이니까 이거 정도만 정리하고 저도 쉬려고 합니다. nginx 설치와 tomcat의 설치는 따로 글이 있으니까 여기서는 다루지 않을게요 2019/12/22 - [Web/Server] - CentOS8. Tomcat 설치하고 포트도 열어주기 CentOS8. Tomcat 설치하고 포트도 열어주기 CentOS가 8이 아니라도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8에서 해서 명시하여 주었음. * 일단 Spri..
- Total
- Today
- Yesterday
- golang
- Spring
- Kotlin
- Codable
- war
- SWIFT
- Java
- intellij
- nodejs
- Linux
- enum
- ubuntu
- tomcat
- github
- Python
- Gradle
- rxswift
- docker
- cocoapods
- git
- go
- Windows
- MySQL
- php
- android
- centos8
- CentOS
- windows10
- ios
- Xcod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