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il이라는것으로 로그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타이핑하면 톰캣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1tail -n 10 ~/[Tomcat]/logs/catalina.out cs 이렇게 하였을 경우에 제일 하단에 다음과 비슷하게 나오면 동작중입니다. 1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 Server startup in 65937 mscs 서버가 언제 구동되었다고 표시하여주는것입니다. 한번만 보지 않고 지속적으로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1tail -f ~/[Tomcat]/logs/catalina.out cs 종료는 control + c
cp는 알고 있으신대로 복사하는 명령어 입니다. 이것을 이용하여서 새로 생긴 파일이나 업데이트 된 파일만 복사할수 있습니다.복사할 필요가 없는 갱신되지 않은 파일들을 복사할 필요는 없을테니까요. 1. 없거나 최신 파일만 복사 cp -u *.* [복사 위치]예) cp -u *.* /home/test/downloads 2. 기타 옵션들 -a, --archive : 소유자의 권한 정보같은 속성도 같이 복사-i, --interactive : 기존 파일을 덮어쓰기 전에 확인 메시지를 보여줌-r, --recursive : 디렉토리와 그 안의 내용까지 복사-u, --update : 없거나 최신의 파일만 복사-v, --verbose : 복사가 완료되면 메시지를 보여줌 즐거운 코딩 되세요.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는 쉬운 방법중 하나가 ftp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보안상의 문제로 sftp를 권장하고 있습니다.저는 그냥 집에서 다른 컴퓨터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참고 바랍니다. 제가 설치한 것은 vsftpd입니다. 많이들 사용하시는것 같더라고요.Ubuntu 버전은 14.04 LTS 입니다. 설치하기apt-get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가 됩니다. $ sudo apt-get install vsftpdcs 설정일단 쓰기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 sudo vi /etc/vsftpd.conf cs 다음을 추가하여 주거나, #으로 코멘트 처리가 되어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줍니다.그냥 추가하는게 더 손쉽습니다. allow_writable_chroot=YESwrite_enable=..
tomcat과 apache는 이름이 붙어서 다녀서 그렇지 서로 다른 프로그램입니다.이 두가지의 서로 다른 점을 한번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쉽게 이야기 하면 동적 데이터를 처리하는것과 정적 데이터를 처리하는것으로 구분됩니다. apache 아파치 재단에서 만든 소프트웨어로 정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웹서버입니다. 웹서버 클라이언트가 GET, POST, DELETE, PUT 등등의 메소드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하여 결과를 돌려주는 기능을 함. 정적인 HTML이나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를 웹서버라고 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데이터들을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사용자가 요청한 것들 중 웹서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것들을 WAS에게 넘겨 처리 결과를 받아와서 클라이언트에게..
- Total
- Today
- Yesterday
- Xcode
- war
- enum
- Windows
- Python
- golang
- windows10
- tomcat
- Linux
- SWIFT
- Kotlin
- MySQL
- intellij
- centos8
- CentOS
- docker
- ios
- ubuntu
- git
- Java
- Codable
- cocoapods
- go
- rxswift
- android
- php
- github
- Gradle
- Spring
- nodej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