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Mobile/Android

[Android Studio] 기본

out of coding 2014. 3. 7. 16:29

안드로이드 개발 IDE인 Android Studio가 발표가 된지 오래입니다.

머... 거의 모든 개발자들이 현재 Eclipse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당분간 사용할일은 없지만.

나중은 모르는 일이기 때문에, 툴을 익숙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를 하여 두어야 할것 같은 생각은 듭니다.


일단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0.5.0 버전이 공개가 되었죠.

1.0.0버전은 언제 나오려나... ㅡ_ㅡ;

기존의 Eclipse ADT와 비슷하게 이녀석도 남이 만든 툴에 들어가서 Custom 한것인데요.

바로 IntelliJ라는 녀석입니다.

처음부터 이렇게 나오던지... 정말 단축키도 그렇고, 익숙하지 않아서 사용하다보면 속이 터집니다.


설치과정은 다들 잘하실수 있을것이라 생각이 들어서, 그냥 넘어가기로 합니다. ㅎㅎ 

못하시는 분들은 다른 포스트를 참고하시는게. ㅎㅎ


일단 다 접어두고, 기본적인 부분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Welcome to Android Studio


뭔가 특별한것은 없는 쉬운 영어이므로 보면 다 알수 있는 내용들...


2. New Project


이클립스를 오랫동안 사용하던 사람들에게 다소 생소한 부분이 존재를 하게 됩니다.

* Application name : 단말기에서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설정

* Module name : Android Studio 내에서 사용할 프로젝트 이름을 설정.

* Package name :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이름을 지정.


3. 초기 Activity 모양 설정

어떤 스타일로 할것인지는, 알아서 선택을 하도록 합니다.

나는 그냥 Blank Activity 선택


이후에 한개 선택사항이 더 있는데,,, 적지 않겠습니다. 이클립스랑 설정하는게 똑같은 상태임.


여기서 주의할것은...

일단 처음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면, maven에서 필요한 녀석들을 받느라, 시간이 좀 걸립니다.

처음만 그런것이니, 이거 툴이 엄청 느리네 이런소리 하지 말길.


4. Android Studio의 Project 구조


보시면 알겠지만, 몹시 심각하게, 이클립스랑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_-

그래서 처음부터 조금 당황스럽긴 하지만... 그래도 계속 진행.


부분들은 다음과 같은 부분들로 구분을 할수가 있습니다.

  • Test (G:\....) : 프로젝트

  • gradle : Gradle Wrapper

  • Test [Test-Test] : 모듈 (기억안나시면, 상위로 올라가보세요.)

  • build.gradle / .gitignore / ... 이런 파일들고 보이는 녀석들 : 빌드에 필요한 녀석들입니다.


자 그러면 본격적으로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자세하게는 저도 공부를 하면서, 하나 하나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 프로젝트 (Project)
    : 이클립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가 각각 하나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던 것과 달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프로젝트는 이 두가지를 다른 프로젝트에 두지 않고, 애플리케이션과 라이브러리를 한군데에 넣어서, 프로젝트 구성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라이브러리라는게... 다른 프로젝트에 또 쓰일텐데... 이건 알아서 잘 쓰시길.
  • 모듈 (Module)
    : 애플리케이션이나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임. 일반적으로 생각하시면 이클립스의 프로젝트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됨. 머 조금 불편하긴 하지만 프로젝트에 항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단위로는 안되는듯...
  • Gradle Wrapper
    : 빌드에 사용하는 Gradle 툴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스크립트. Gradle wrapper는 적절한 Gradle 바이너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주므로, 별도로 Gradle을 설치하지 않아도 빌드가 진행됨. 자동툴 만세.
  • ETC
    1. build.gradle : 빌드 스크립트 파일. 보통 여기에는 프로젝트 내 모듈들의 빌드 진행시 공통으로 적용해야 하는 설정들을 적어줌.
    2. Test.iml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프로젝트 설정 파일
    3. gradlew / gradlew.bat : Gradle Wrapper를 통해 빌드를 진행하기 위한 스크립트임.
    4. local.properties : 빌드를 진행할 때 필요한 환경변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임. 안드로이드 SDK 경로가 이곳에 저장됨
    5. settings.gradle : 빌드와 관련된 환경설정 및 같이 빌드되어야 하는 하위 모듈들의 정보를 포함하게 됨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파일들이 이클립스보다 많네요. 신경을 쓰지 않아도 빌드는 되지만, 정확하게 빌드를 하고 싶다면, 알아야 하는 부분들도 많습니다. 어렵네요 어려워. 파일이 많아진 이유는 일단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빌드시스템이 서로 독립적으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이클립스는 프로젝트 빌드를 이클립스 내에서 담당을 하였지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코드의 편집만을 담당하게 됩니다. 빌드는 Gradle이 알아서 하게 되어 있는것이죠. 그래서 간혼 Gradle 빌드설정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프로젝트 설정이 맞지가 않아서, 에러로 표시하는 경우도 발생을 하게 됩니다. 일단 이렇게 빌드 절차와 IDE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는 더 깔끔하게 관리가 된다고 합니다.


* 이런 문제점들이 있어서, 빌드하기전에는 오류로 나오지 않는 녀석들도 많은것 같습니다. 웬지 C를 하는 느낌.


5. 실제 모듈내부의 소스 부분 구성


각 부분에 대해서 설명들어갑니다.

  • build : 빌드 과정에서 생성된 파일(R.java등) 및 최종 산출물(*.apk)이 이곳에 저장됩니다. 이클립스로 따지면 gen, bin폴더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 src : 개발 소스에 대한 부분으로, java와 res로 구성이 됩니다. 이클립스 구조에서도 이런식이었으니, 착오는 없으실거라 생각합니다.
  • build.gradle : 모듈의 빌드 방법이 정의된 빌드스크립트. 빌드에 사용할 SDK 버전부터 시작하여 애플리케이션 버전,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등 다양한 항목을 설정하는것이 가능합니다.
  • Test-Test.iml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는 모듈 설정 정보임.


일단은 이 포스트는 여기까지하고, 자세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Mobile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tudio] 단축키  (0) 2014.03.07
[Android Studio] Module의 build.gradle  (0) 2014.03.07
Hello, Testing  (0) 2014.03.07
Testing in Other IDEs  (0) 2014.03.07
Data backup  (0) 2014.02.1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