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는 그냥 사람을 피곤하게 만드는 OS입니다. 오늘 하던 부분중에 불편했던 부분은 톰캣의 root folder에서 파일을 바로 작업을 하고 저장하려고 할 경우에 저장이 안되서 고생을 했던 부분입니다. 저장이 안되는것이 권한이 없기 때문인데... 그러면 저장되도록 권한을 받아주던지 맥처럼... 아무튼 OS의 욕은 그만하고 내용을 정리하면 프로그램 시작부터가 관리자 권한으로 해야한다 입니다. 그럼 해봅시다. 일단 예를 들어서 메모장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시작 버튼을 누르고 메모장을 어떻게는 찾아봅니다. 그리고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보세요. 그러면 자세히가 보이게 되고, 거기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합니다. ㅎㅎㅎ 모든 프로그램들이 이렇게 실행이 가능합니다. 열받지 말고 슬슬합시다.
집에 그냥 굴러다니는 윈도우를 테스트 서버로 사용을 합니다.이것저것 만들고 그냥 이것저것하고....근데 이것을 다른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붙여서 사용을 하려고 하면 포트가 열리지 않아서 오류가 발생하죠 그래서 포트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의 버전이 변경되어도 비슷한 이름의 비슷한 메뉴로 진입이 가능하니까 느낌적인 느낌으로 해봅시다. 1. 윈도우키 + Q 방화벽이라고 타이핑을 하여 봅니다. 그러면 방화벽 관련된 메뉴가 나올텐데 그것을 선택.저는 윈도우10이고 정확하게는 " 방화벽 상태 확인 " 으로 검색이 되네요?아니면 그 아래에 "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호 " 도 있습니다.동일 하니 아무거나 선택을 합니다. 2. 화면이 나오게 되고, 이제는 이 부분에서 고급 설정을 눌러줍니다. 3...
- Total
- Today
- Yesterday
- nodejs
- go
- github
- ubuntu
- Windows
- golang
- centos8
- enum
- windows10
- Xcode
- SWIFT
- php
- docker
- rxswift
- Codable
- CentOS
- Java
- MySQL
- tomcat
- cocoapods
- ios
- Gradle
- Linux
- intellij
- android
- git
- Kotlin
- Python
- Spring
- wa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